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주식공부

주식 대여 서비스 알아보기(계산법,권리,장단점)

by swagger 2022. 6. 6.
반응형

현금을 은행에 입금하면 은행으로부터 이자를 받는 것처럼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대여해주면서 일정 금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주식 대여 서비스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보유한 주식을 주식대여를 통해서 추가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주식대여 서비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주식대여 서비스란?

개인 또는 일반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증권사의 중개를 통해서 기관투자자와 같은 주식 차입자에게 주식을 대여하고 대여기간 동안 빌려준 주식에 대한 대여수수료를 지급받는 서비스입니다.

이전 공매도 관련 포스팅에서 기관투자자들이 공매도를 할 때 주식을 빌려서 먼저 매도를 하고 나중에 주식을 매입해서 갚는다고 했는데 이때 기관투자자들이 매도를 위해 개인이 대여한 주식을 차입하여 공매도에 이용합니다.

 

 

[주식공부] 공매도 알아보기(정의,원리,장단점,종류,현황조회)

오늘은 주식 관련 뉴스에서 한 번쯤은 접해봤을 공매도에 대해서 정의와 원리 그리고 장단점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공매도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있다면 투자하는 종목에 공매도가

aceq.tistory.com

 

주식대여 서비스 수수료 계산

   
대여수수료 연간 0.1%~ 5% 대여 수수료 지급(대여주식의 희소성 및 시장상황에 따라 차이발생)
대여수수료 계산방법 대여수량 X 대여종목 전일종가  X 대여 수수료율 X (보유기간 / 365일)
수수료 지급일 증권사별 상이
세금납부 기타 소득세율 20% + 지방소득세 2% 로 총 22% 원천징수

 

수수료 계산 예시

전일 종가가 20,000원이고 대여 수수료율이 2%인 A 종목을 500주를 한 달간 대여했을 경우 예상되는 수수료를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이 한 달 동안 12,821원 1년 동안 156,000원 정도의 대여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500주 X 20,000원 X  2% X (30/365)  = 16,438원 → 22% 세금공제 시 12,821원

 

반응형

주식대여 서비스 시 주주권리

  • 주식 대여 시에도 바로 주식을 매도가 가능
  • 주식 대여시에도 배당금 지급 가능
  • 주식 대여시 의결권 및 매수청구권은 없음
  • 주식 대여시 유상증자로 신주인수권 증서 발행 시 매도 및 입출금이 제한

 

주식대여 서비스 장단점

주식대여 서비스 장점

주식대여 서비스는 장기투자자에게 유리합니다. 아무래도 주식을 대여받으면 공매도에 활용되다 보니 주가에는 안 좋은 영향이 있지만 대여받은 주식도 언젠가는 갚을 주식이기 때문에 주식을 대여하면서 수수료 수익도 얻고 공매도가 상환되면서 주식을 다시 상승할 수 있으니 주가 상승으로 인한 수익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주식을 오래 보유하게 되면 배당금 외에는 추가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없지만 주식대여를 통해서 일정의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주식대여 서비스 단

주식대여 서비스의 단점은 대여한 주식이 공매도에 활용되기 때문에 공매도 물량이 많아지면서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 단점입니다. 주식을 대여하였더라도 내가 주식을 보유한 사실은 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식의 매도시점과 주가의 전망에 대한 판단에 따라서 주식대여 서비스를 신청해야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