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경제정보

네이버,카카오 재택근무 활성화

by swagger 2022. 6. 1.
반응형

국내 IT 서비스 기업의 대표격인 네이버와 카카오에서 코로나19가 줄어들고 있는 시점에 재택근무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네이버 카카오의 재택근무 발표내용과 재택을 시행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고 앞으로 기업들의 재택근무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_카카오_재택근무_활성화

네이버의 '커넥티드 워크'

네이버는 재택근무 시행에 앞서 근무형태에 따라 O타입(주 3회 이상 사무실 출근)과 R 타입(전면 재택근무)으로 구분하여 전 직원 4,700여명을 대상으로 근무형태를 선택하도록 투표를 진행하였고 O타입을 선택한 직원이 45%, 전면재택을 선택한 직원이 55%로 확인되었습니다. 투표결과에 따라 네이버의 새로운 근무제도는 오는 7월부터 6개월간 적용될 예정입니다.

 

네이버는 지난달 기존 사옥에 비해 3배 가까운 자원을 투입하여 건물 전체를 로봇과 연결되는 네트워크로 구축한 로봇친화형 빌딩인 제2사옥 '1784'를 오픈하였습니다. 새로지은 제 2사옥으로 직원들의 출근 유도를 위해 지정좌석제,식사,정기주차권뿐만 아니라 재활치료까지 가능한 병원과 같은 복지시설도 확충하였습니다. 

재택근무를 선택한 직원들을 위해서도 업무지원비를 늘리고 사용범위를 다양화하였으며 제2사옥 출근시 식당을 무료로 이용할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다만, 재택을 선택한 직원들은 지정석이 아닌 공용좌석을 사용해야 합니다.

 

카카오의 '메타버스 근무제'

카카오 역시 최근 '메타버스 근무제'라는 새로운 근무제도를 발표하였습니다. 주 4일 원격근무로 업무를 수행하고 나머지 하루는 부서원과 대면업무를 하면서 팀웍을 다질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대면업무의 경우 공간의 제약을 두지 않은것이 특징입니다. 대면업무를 하는동안은 사무실을 비롯해 식당,카페등 원하는 장소에서 업무를 수행할수 있습니다.

 

반응형

카카오는 시범운영 기간을 갖기로 하고 그라운드 룰이라는 가이드라인도 만들었습니다. 그라운드룰에는 주1회 대면업무 , 부서원간 실시간 음성연결의 내용이 담겨있는데 새로운 근무제도 도입을 앞두고 일부직원은 음성연결과 코어타임 도입에 대해 불만이 제기되어 시범운영 기간동안 직원들의 불만사항에 대해서 재검토하여 새로운 근무제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이유

네이버와 카카오가 재택근무를 파격적으로 시행한 이유는 지난 2년간 원격근무로 충분한 성과를 거두면서 사무실에서 일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특히 IT 업계의 우수한 인재유치를 위한 경쟁이 치열한 만큼 한동안 임금인상을 통한 인재 유출을 막았다면 최근에는 '워라밸' 분야로 경쟁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네이버,카카오가 재택근무 시행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재택근무 시행이 유리한 IT 업종이나 사무직에 재택근무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