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주식공부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스태그플레이션 알아보기

swagger 2022. 6. 15. 07:08
반응형

최근 유가와 식료품 가격 상승을 비롯한 전체적인 물가상승으로 5월 CPI 지수가 최근 4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문제로 인해 연준에서는 올해 계속해서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어 주식을 비롯한 위험자산 투자시장의 분위기가 좋지 않습니다. 오늘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고 과거의 사례를 알아보면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플레이션_디플레이션_스태그플레이션_알아보기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은 쉽게 말해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인플레이션은 크게 수요견인 인플레이션과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은 시중에 돈이 많아져서 물건을 사고싶어하는 수요는 많은데 그에 비해 공급물량이 부족해서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수요경인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은 전쟁, 전염병 등으로 공급물량이 줄어들면서 수요는 그대로지만 공급할 수 있는 물건이 부족해지면서 가격이 오르는 현상을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에서는 갑작스러운 전염병 사태인 코로나19로 인해서 사회활동이 어려워지면서 재난지원금을 비롯한 많은 지원금을 지급하였고 금리도 계속적으로 인하하면서 시중에 돈을 많이 풀었습니다. 그러나 올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물류 대란, 농산물의 흉작등으로 유가와 농산물 가격이 많이 상승하면서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린 상태에서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인플레이션 발생을 촉진하였습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금리를 인상해서 시중의 돈을 회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980년대 인플레이션이 심해져 CPI 지수가 14.6% 까지 오르던 시기에 미국의 FED 의장인 폴 볼커의 과감한 금리인상을 통해서 물가를 잡으려했습니다. 이러한 계획은 성공적으로 물가를 끌어내렸지만 장기간의 경기침체와 불황을 불러오기도 하였습니다.

 

디플레이션이란?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떨어지면서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시중에 돈이 줄어들게 되면 사람들이 소비를 줄이게 되고 기업에서는 물건이 팔리지 않고 실적이 안좋아지면서 월급과 고용을 줄이게 됩니다. 월급이 줄고 실업자가 많아지다보니 다시 사람들이 소비를 줄이게 되는 원인이 되면서 악순환이 반복되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디플레이션을 타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통화량을 알맞은 수준까지 늘려 물가를 인상시키고 이로인해 기업실적이 좋아지면서 투자와 고용이 늘어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와 같은 정책을 리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정책의 좋은 예는 1930년대 세계공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미국에서 실시한 뉴딜정책이 좋은 예시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경기침체로 고용과 월급이 안 좋아지는데 물가까지 오르게 되니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인 고통이 가장 크고 국가에서도 해결하기 가장 어려운 현상입니다. 이러한 스태그 플레이션은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으로 인해서 발생되는데 과거 석유파동 당시 높아진 석유와 원자재 비용으로 인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스태그 플레이션이 발생하였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을 타개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은데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중에 돈을 풀면 물가가 오르고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면 기업 생산과 소비가 위축되면서 경기가 하락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술혁신을 통해 좋은 제품을 더 값싸게 공급해서 스태그플레이션을 돌파하는 방법이 있지만 쉽지는 않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CPI) 발표와 주가가 하락한 이유 알아보기

한국시간 6월 10일 21시 30분 발표된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CPI) 발표와 함께 미국 3대 지수가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이번 CPI 지수는 발표전부터 많은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졌는데요. 소비자물가지

aceq.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