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주식공부

이격도와 이격도 매매법 알아보기

swagger 2022. 6. 22. 07:01
반응형

차트를 분석하여 매매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오늘은 이격도를 활용한 매매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격도는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간격을 수치화하여 적당한 투자시점을 찾기 위해 활용되는 보조지표입니다.

이격도 알아보기

이격도란?

이격도는 현재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간격이 얼마나 떨어져있는지 계산하여 단기적인 투자시점을 포착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이격도가 100 이상이라는 건 당일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다는 의미이고 반대로 100% 이하는 이동평균선 아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격도 = 주가 / 이동평균 X 100

 

이격도를 활용한 매매방법

주가가 평균값(이동평균)에서 멀어지게 되면 다시 평균선으로 돌아가려는 회귀성을 이용한 매매기법으로 주가가 이동평균선에서 너무 떨어져 있으면 근접하려고 하고 너무 붙어있으면 다시 떨어지려는 속성이 있다는 가정을 가지고 매매하는 방법입니다.

 

이격도가 100 이상일 경우는 당일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어 당일 주가가 최근 평균보다 더 높다는 의미이며 반대로 100 이하는 주가가 이동평균보다 아래에 있어 당일 주가가 최근 평균보다 더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격도에서 변곡점이 나타나거나 기준되는 값을 돌파하게 되면 매도나 매수 시점이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격도를 활용시 100을 기준으로 약 ±10 이내의 차이 발생하면 매수와 매도를 고려하며 해당 종목의 과거 데이타를 기반으로 전체 시장의 국면과 다른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격도는 키움 영웅문 HTS 를 기준으로 종합차트>기술적지표 선택시 모멘텀 지표>이격도를 선택하여 확인가능하며 이격도5,이격도10,이격도20,이격도60를 기본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종합주가 지수 기준으로 95% 미만이면 '침체'  110% 이상이면 '과열' , 115% 이상이면 '초과열' 국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테마주나 단기 변동성이 큰 종목은 과거의 평균 데이터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이격도 매매방법이 잘 맞지 않을 수 있으며 우량주나 주가의 흐름이 안정적인 종목에서 보조지표로 활용 시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