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주식공부
[주식공부] 주식계좌용어 알아보기(예수금,증거금,미수금,대용금)
swagger
2022. 5. 11. 06:28
반응형
1. 예수금
- 정의 : 증권계좌에 주식투자를 위해 미리 넣어둔 현금을 의미하며 출금이 가능한 금액입니다.
- 예시 : 우리나라는 '주식 후불 결제'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주식을 매수하면 실제 D+2일 후에 정산이 됩니다. 증권계좌에 예수금을 300만원 보유한 상태에서 주식을 100만원만큼 매수하면 D+2에는 200만 원의 예수금이 남게 됩니다. 반대로 예수금을 200만원 보유한 상태에서 보유주식을 50만원만큼 매도하면 D+2에 250만 원이 남게 됩니다.
Case | D+1 예수금 | D+2 예수금 |
300만원을 증권계좌 보유중 100만원만큼 주식매수 |
300만원 | 200만원 |
200만원을 증권계좌 보유중 50만원만큼 주식매도 |
200만원 | 250만원 |
2. 증거금
- 정의 : 증거금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예수금보다 큰 금액만큼 주식 매수하고자 할 때 필요한 보증금입니다. 주식을 매매할 때 실제 D+2에 정산이 되기 때문에 증거금 비율 이상의 현금으로 먼저 주식을 매수할 수 있으며 D+2에 부족한 금액을 채워 넣어야 합니다.
- 예시 : A 주식의 증거금률이 40%이며 현재 주가가 100만 원이라고 가정하면 투자자는 40만 원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으며 부족한 60만 원에 대해서는 D+2까지 채워 넣어야 합니다.
3. 미수금
- 정의 : 미수금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예수금보다 큰 금액만큼 주식 매수했을 때 실제 매매대금이 정산(D+2)되기 전까지 증권계좌에 채워 넣어야 할 부족한 금액입니다.
- 예시 : 현재 주가가 100만 원인 A라는 주식을 미수를 사용하여 40만 원으로 매수한 경우에 부족한 금액인 60만 원만큼 미수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미수금은 D+2까지 증권계좌에 입금해야 하며 미수금을 입금하지 못한 경우 D+3에 증권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강제로 매도하는 반대매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식공부] 주식미수거래 알아보기(+미수동결계좌,반대매매)
1. 주식 미수거래 주식 미수거래는 주식 투자자가 주식을 매수할 때 주식 매입대금의 30%(증거금률) 이상에 해당하는 증거금을 내고 주식을 외상으로 사는 제도입니다. 주식은 D+2일에 결제가 되
aceq.tistory.com
4. 대용금
- 의미 :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담보로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릴 수 있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 예시 : 현재 A 주식을 보유 중이고 전날 기준 평가액이평가액이 100만 원이라 할 때 B주식을 대용금으로 매수하고 싶다고 가정해봅니다. 이때 A주식 평가액 100만 원의 A 주식의 대용금 비율이 70% 일 경우 A주식을 담보로 증권사로부터 70 만원을 빌려서 B 주식을 매수할 수 있으며 이 대용금은 D+2 안에 갚아야 합니다. 만일 갚지 않을 경우에는 주식을 강제 청산당할 수 있으니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위에서 A 주식의 대용금 비율이 70%라고 예시를 들었는데 대용금 비율은 종목마다 다르며 보통 거래가 많은 종목은 비율이 크고 반대로 거래가 적은 종목은 비율이 낮습니다.
거래시장에 따라 대용금 비율 기준은 각각 다르며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시장구분 | 구분 | 비율 |
코스피 | 거래대금 상위 50%이상 | 80% |
거래대금 하위 5% 이하 | 60% | |
그 외 | 70% | |
코스닥 | 거래대금 상위 20%이상 | 80% |
거래대금 하위 5% 이하 | 60% | |
그 외 | 70%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