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탄소배출권에 투자하는 상품인 'KODEX 유럽 탄소배출권 선물 ICE(H)' ETF에 대해서 공부해 보려 합니다.
기본 정보
삼성 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KODEX 유럽 탄소배출권 선물 ICE(H) ETF는 2021년 9월에 상장하였으며 규모는 1,100억 규모로 'ICE 선물거래소'에 상장된 유럽 탄소배출권 선물지수인 'ICE EUA Carbon Futures Index (ER)'를 기초지수로 하여 투자하는 ETF입니다.
운용보수는 0.64% 로 비싼 편이며 선물에 투자하고 환헷지를 실시하여 투자하기 때문에 해외자산에 투자 시 발생할 수 있는 환율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탄소 배출권이란?
탄소배출권은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를 일정기간 동안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하며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산업에 속한 기업에게 배출허용량을 설정하고 실제 발생한 탄소배출량과 탄소배출권 사이에 부족분이나 잉여분을 배출권 거래시장을 통해서 거래합니다.
할당량보다 탄소배출량이 적어 잉여 배출량이 발생한 기업과 탄소배출량이 많아 탄소배출권이 필요한 기업은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을 통해서 탄소배출권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
관심을 갖는 이유
유럽의 탄소 배출권 공급이 감소되고 있으며 2030년까지 매년 4.2% 탄소배출권이 감소 예정이며 포스트 코로나로 인한 경기 회복과 배출권 무상할당 감소에 겹치면서 탄소배출권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기관에서 장기적으로 탄소 가격의 상승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IEA는 평균 탄소 가격이 2050년 톤당 250$ 로 예상하고 NGFS에서도 2030년 유럽 탄소 가격을 150$ ~ 454$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파리 기후협약 이후 전 세계적으로 '탄소배출권 거래제도'가 필수적인 정책수단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각 국의 탄소배출권 시장규모는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약 64개 지역에서 탄소배출권 거래제도(ETS)를 이용하거나, 탄소에 과세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EU)은 전 세계 탄소배출권 가치의 1/3, 세계 탄소배출권 거래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글로벌 탄소배출권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탄소배출권은 전통적인 시장 자산과 상관관계가 낮아 포트폴리오 분산 효과가 있기 때문에 대체투자수단으로써 고려될 수 있습니다.
종목 구성
종목 구성은 94% 가까운 비중으로 ECX EMISSION F2212로 투자되고 있으며 나머지 6%로의 비중으로 KRANESHARES GLOBAL CARBON ET에 투자되고 있습니다.
매수 전략
현재 KODEX 유럽 탄소배출권 선물 ICE(H) ETF 가격은 3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로 10,000원 이하로도 떨어졌지만 4월 21일 EU 환경규제 강화 발표에 따라 종가 기준 13,735로 따라 급등하였습니다. 탄소배출권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지만 탄소배출 총량을 줄여 공급 부족 현상은 계속될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져볼 만합니다.
다만 해당 상품은 선물에 투자하는 상품임을 알고 투자 시 유의하여야 합니다. 이 상품은 매년 9, 10, 11월의 각 첫 15 영업일 동안 각 월마다 1/3씩 익년 12월 물로 롤오버 진행한다고 명시되어있습니다. 여기서 롤오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면 선물의 경우 현물로 거래하는 것은 보관, 이동과 같은 어려움이 있어 선물거래 시 해당 월별 선물 만기일에 다음 월물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비용을 '롤오버 비용'이라고 합니다.
※ 이 글은 투자 추천글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주식투자 > 국내ETF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분석] ARIRANG 고배당주(161510) - 고배당주에 투자하는 ETF (0) | 2022.04.16 |
---|---|
[ETF 분석] TIGER TOP10(292150) - 국내 시가총액 상위 우량주 ETF (0) | 2022.04.13 |
[ETF 분석] ARIRANG iSelect우주항공&UAM(421320) - 우주항공&UAM ETF (0) | 2022.04.11 |
[ETF 분석] TIGER 여행레저(228800) - 리오프닝 관련 ETF (0) | 2022.04.07 |
댓글